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부
School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부
School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
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
작성일 2025-02-05 14:47 조회 153회 댓글 0건
경북대학교 생명공학부 조동형·염은별 교수팀이 손상된 라이소좀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라이소파지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했다.
이어 ‘TAX1BP1 단백질’이 이를 인식하고 자가포식 경로를 활성화시키게 된다. 조 교수팀은 이 과정을 통해 ‘TBK1-SCFFBXO3-TMEM192-TAX1BP1’ 신호전달 축이 라이소좀과 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신호전달 경로라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.
조동형 교수는 “이번 연구는 손상된 라이소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라이소파지 기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항노화 및 항암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”고 말했다.
이어 “추가 연구를 통해 라이소파지 관련 노인성 질환 치료제 개발 등 신약 개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”이라고 덧붙였다.
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신진연구및중견연구지원사업,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, 교육부의 G-램프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제1저자는 경북대 세포소기관연구소 박나연 박사, 교신저자는 생명공학부 조동형·염은별 교수이다. 연구 결과는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‘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’ 1월 28일자에 게재됐다.